분류 전체보기35 나만의 소중한 존재는 무엇인가? 우리는 모두 어떤 존재와 연결되어 살아간다.그 대상이 사람이든, 동물이든, 혹은 가끔은 아무 생명도 없는 물건일 수도 있다.누군가는 반려견의 눈빛에서 위로를 받고, 누군가는 매일 함께 걷는 길에서 마음의 안정을 느낀다.그리고 이제는, 게임 속 캐릭터나 인공지능 로봇조차 누군가에겐 '소중한 존재'가 되어버린 시대다. 넷플릭스 블랙미러 시즌 7의 에피소드 장난감은 이 감정의 영역이 얼마나 확장될 수 있는지를 묻는다.사회성이 떨어지는 듯한 주인공은 현실보다 게임 속에서 더 깊은 감정 교류를 느낀다. 그에게는 게임 속 캐릭터가 친구이자 위로였고, 결국 그 존재를 위협하는 현실을 향해 분노하게 된다.우리는 그 장면을 보며 단순히 ‘기괴하다’고만 할 수 있을까? 예전엔 사람이 사람에게만 사랑을 느끼는 것이 당연하다.. 2025. 7. 12. 기억 속으로 걸어 들어가는 기술 – 블랙미러 ‘율로지(Eulogy)’가 보여준 미래의 추모 넷플릭스 블랙미러 시즌7의 다섯 번째 에피소드 〈율로지〉는 처음엔 단순한 ‘추억 소환’ 정도로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에피소드는 점점 더 깊은 감정의 장소로 들어가, 우리가 ‘기억’이라는 것을 어떻게 소중히 여기고, 또 얼마나 간절히 붙잡고 싶은지를 정면으로 보여준다. 이야기는 오랜 시간 떨어져 지낸 옛 연인의 사망 소식으로 시작된다. 주인공 남성은 그녀의 추도식에 사용할 추억 콘텐츠를 준비하기 위해 AI 서비스에 의뢰하게 된다. 그런데 이 AI는 단순히 사진을 정리하는 정도를 넘어선다. 그 한 장의 사진 속 장면을 입체적으로 복원해 당시의 분위기, 음악, 대화까지 구현해내고, 그 기억 속으로 실제로 들어가 살아보게 한다. 마치 우리가 타임머신을 탄 것처럼 말이다. 이 과정을 통해 남성은 과거의 추억을 .. 2025. 7. 11. 영화 속에 갇힌 삶 – '레버리 호텔'과 우리가 모르는 현실의 시나리오 넷플릭스 시리즈 블랙미러 시즌7의 한 에피소드 '레버리 호텔'은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뒤흔드는 강렬한 메시지를 던진다. 주인공은 할리우드의 한 중년 여배우. 그녀는 과거에 즐겨 보던 고전 영화의 리메이크 프로젝트에 주연으로 제안받는다. 하지만 이 리메이크는 단순한 재촬영이 아니다. 최신 AI 기술을 이용해 주인공이 실제로 고전 영화의 세계로 들어가 '새로운 인물'로 재구성되는 방식이다. 처음엔 흥미롭기만 했던 이 실험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영화 속 인물들은 자신들이 영화의 일부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 오직 주인공만이 그것이 허구라는 걸 알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반복되는 촬영, 고립된 현실, 점점 더 선명해지는 감정은 그녀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결국 그녀는 영화 속 한 인물과.. 2025. 7. 10. 내가 던진 돌멩이, 누군가에겐 생을 뒤흔든 파문 – 블랙미러 ‘베트 누아르’ 리뷰 넷플릭스 시즌 7, 두 번째 에피소드 ‘베트 누아르’는 첫 장면부터 묘하게 불편하다. 한 여성이 직장에서 만난 옛 동창의 등장으로 삶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이야기는 점점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친하지 않았던 친구의 갑작스러운 재등장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었다. 그녀가 꾸민 정교한 시뮬레이션, 즉 조작된 평행우주였다는 사실이 밝혀졌을 때, 보는 나조차도 혼란스러워졌다. 이 에피소드는 단지 SF나 복수극에 머물지 않는다. 과거에 무심코 퍼뜨린 루머, 그 가벼운 한마디가 누군가에겐 인생을 뒤집는 비극의 씨앗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자신에게는 사소한 농담이, 상대에게는 회복 불가능한 상처가 될 수도 있다는 것. 우리는 얼마나 자주, 얼마나 쉽게 누군가의 시선과 아픔을 외면해왔을까? 주인공은 자신이 무엇.. 2025. 7. 9. 지키고 싶었던 사랑, 시스템 안에 갇히다 – 블랙미러 'Common People' 리뷰와 성찰 넷플릭스 블랙미러 시즌 7의 첫 번째 에피소드 'Common People'은 디스토피아적 미래 사회에서 인간성과 기술이 충돌하는 이야기를 통해 깊은 여운을 남긴다. 갑작스러운 뇌 질환으로 삶을 위협받는 아내 Amanda를 위해 남편 Mike는 그녀의 의식을 클라우드에 업로드하는 실험적인 기술 '리버마인드(Rivermind)'를 선택한다. 이 선택은 사랑의 연장선에서 출발했지만, 그 끝은 사랑이 시스템의 노예가 되는 역설로 귀결된다. 처음에는 혁신적이고 감동적인 결정처럼 보였던 기술이 점차 삶을 옥죄기 시작한다. Amanda는 살아남았지만, 광고를 시청해야만 유지되는 저가 플랜에 속해 점차 피폐해지고, 수면 시간을 늘려야만 구독비를 감당할 수 있게 된다. 그녀는 점점 사람들과 단절되고, 마침내는 남편 Mi.. 2025. 7. 8. 사이보그가 된 인간, 인간일까 기계일까? 공각기동대(Ghost in the Shell)는 사이버펑크 장르의 고전이자, 인간성과 기술의 경계를 질문하는 작품이다. 그 중심에는 전신이 기계로 대체된 채 살아가는 쿠사나기 모토코 소령이 있다. 그녀는 인간의 뇌 일부만을 남기고 몸 전체를 사이보그화한 존재다. 그렇다면 그녀는 과연 인간일까, 기계일까? 이 작품은 단순한 액션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쿠사나기 소령은 어느 순간 자신에게 던진다. "나는 누구인가? 내 기억은 진짜인가?" 기억은 디지털 방식으로 업로드되고 수정될 수 있다. 심지어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과거조차 주입될 수 있다. 그렇다면 자아는 어디서 비롯되는가? 우리가 나라고 믿는 정체성은 결국 뇌가 저장하고 있는 기억들의 총합에 불과한가? 공각기동대는 이 질문을 인형사(Puppet Mast.. 2025. 7. 7.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