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에 떠밀려온 거대한 시체. 경외는 금세 사라지고, 인간은 그것을 소비하고 잊어버린다.
줄거리 요약
〈The Drowned Giant〉는 어느 날 해변에 거대한 인간의 시체가 떠밀려온 사건을 그린다. 처음엔 사람들은 경외심을 품고 몰려와 거인을 구경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경이로움은 점차 희석되고, 거인의 몸은 해체되며 일상적인 자원처럼 소비된다. 결국 바닷가의 신화 같은 존재는 흔적조차 사라지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점점 잊혀진다.
철학적 메시지
이 에피소드는 인간의 망각과 신화의 해체를 보여준다. 경이로운 사건조차 시간이 지나면 일상의 일부가 되고, 인간은 그것을 소비하며 의미를 지워버린다. 거인의 몰락은 곧 경외에서 무관심으로 이어지는 인간 태도의 축소판이다.
저는 이 작품을 보며 “인간은 얼마나 쉽게 익숙함 속에서 의미를 잃어버리는가”라는 질문을 했다. 우리가 처음에는 경이로 여겼던 것들이 결국 ‘소모품’으로 전락하는 현실은, 신화가 아닌 우리 일상 속에서도 반복되는 현상이다.
개인적인 감상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해변을 가득 메우던 거인의 육체가 시간이 지나면서 광고판과 박물관 전시물, 건축 자재로 흩어지는 과정이었다. 그 장면은 아름답기도 했지만 동시에 잔혹했다. 인간의 호기심은 곧 소비로 이어지고, 결국 파괴로 귀결된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저는 그 장면에서 우리가 지금 누리는 문명과 자원도 사실은 수많은 ‘거인의 흔적’을 소비한 결과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경외의 대상이 사라지는 순간, 우리는 무엇을 잃어버리고 있는 걸까?
마무리
〈The Drowned Giant〉는 화려한 액션이나 공포 대신, 서정적인 톤으로 인간과 경이의 관계를 성찰한다. 그것은 단순한 거인의 죽음이 아니라, 인간이 경외를 잃어가는 방식에 대한 우화다. 작품은 우리에게 이렇게 묻는다. “당신은 경이로움을 끝까지 지켜볼 수 있는가, 아니면 잊어버릴 것인가?”
'드라마속 철학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브, 데스 + 로봇 〈Life Hutch〉 – 생존 본능과 기술의 역설 (0) | 2025.09.17 |
---|---|
러브, 데스 + 로봇 〈All Through the House〉 – 성탄의 환상과 공포 (1) | 2025.09.16 |
러브, 데스 + 로봇 〈The Tall Grass〉 – 호기심과 경계, 인간의 본능 (0) | 2025.09.15 |
러브, 데스 + 로봇 〈Snow in the Desert〉 – 불멸의 고독과 인간적 연결 (0) | 2025.09.14 |
러브, 데스 + 로봇 〈Pop Squad〉 – 불멸의 대가, 아이 없는 세계의 윤리 (0) | 2025.09.13 |